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구하기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gcdlcm을 작성하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 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세요.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최대공약수는 3,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gcdlcm(3, 12)는 (3, 12)를 반환해야 합니다.
약수란, 1을 포함하여 딱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의미한다.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을 최대 공약수로 나눈 것과 같다. 인자로 받은 두 정수의 약수들을 list로 담고 교집합과 max()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구했다.
def gcdlcm(a,b):
list_a = []
list_b = []
for _ in range(1,a+1):
# a의 약수를 list로
if a % _ == 0:
list_a.append(_)
for _ in range(1,b+1):
# b의 약수
if b % _ == 0:
list_b.append(_)
# 최대공배수는 교집합으로 뽑아내기
result1 = max(list(set(list_a)&set(list_b)))
# 최소공배수는 두 수의 곱을 최대공약수로 나눈것
result2 = int((a*b)/result1)
return result1, result2
다른 풀이로는, 최대공약수의 다른 풀이로는 두 정수 중 작은 수 부터 내려가며 두 수를 동시에 딱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찾는 방식도 있다.
# solution 2
def gcdlcm2(a,b):
big, small = a, b if a > b else b,a
for gcd in range(small,0,-1):
if big % gcd == 0 and small % gcd ==0:
break
불쌍한 달팽이
달팽이는 낮 시간 동안에 기둥을 올라갑니다. 하지만 밤에는 잠을 자면서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미끄러집니다. (낮 시간 동안 올라간 거리보다는 적게 미끄러집니다.) 달팽이가 기둥의 꼭대기에 도달하는 날까지 걸리는 시간을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함수의 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둥의 높이(미터) 낮 시간 동안 달팽이가 올라가는 거리(미터) 달팽이가 야간에 잠을 자는 동안 미끄러지는 거리(미터)
def snail(height, clime_day, slide_night):
# 날짜 체크
day = 0
while height > 0:
day += 1
height -= clime_day
if height > 0:
height += slide_night
return day
무엇이 중복일까
다음 리스트에서 중복되는 요소만 뽑아서 새로운 리스트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list의 count()를 이용하여 중복되는 요소를 뽑아 내어 set으로 중복되지 않게 추가하여 풀었다.
def duplicated(elem):
return list(set([x for x in elem if elem.count(x)>1]))
list만으로 해결하는 풀이도 있다.
# solution 2
def dup2(chars):
# 등장한 문자열 모으기
registered=[]
# 답
answer = []
for char in chars:
# 등장한적 없는 알파벳
if char not in registered:
registered.append(char)
# 등장한적은 있으나, 답에는 없다면
elif char not in answer:
answer.append(char)
return answer
알파벳만 남기고 뒤집기
문자열이 주어지면, 해당 문자열 중에서 알파벳이 아닌 문자는 전부 빼고 거꾸로 뒤집어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ord함수를 써서 아스키코드를 활용하여 풀이하였다.
def reverse_letter(str):
new_str = ''
for char in str:
if 64 < ord(char) < 91 or 96 < ord(char) < 123:
# print(char)
new_str += char
return new_str[::-1]
print(reverse_letter('krishan'))
print(reverse_letter('ultr53o?n'))
isalpha()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사실 그냥 아스키코드 대신 ‘a’를 사용해도 된다.
편안한 단어
(QWERTY 키보드를 사용하여 타이핑 한다고 가정할 때) ‘편안한 단어’는 타이핑 할 때 손을 번갈아 칠 수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단어를 인자로 받아 그것이 ‘편안한 단어’인지 여부를 True/False로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모든 단어는 a ~ z까지 오름차순으로 구성된 문자열입니다.
문자 목록 왼손: q, w, e, r, t, a, s, s, d, f, g, z, x, c, v, b 오른손: y, u, i, o, p, h, j, k, l, n, m
def comfortable_word(word):
left = ['q', 'w', 'e', 'r', 't', 'a', 's', 'd', 'f', 'g', 'z', 'x', 'c', 'v', 'b']
right = ['y', 'u', 'i', 'o', 'p', 'h', 'j', 'k', 'l', 'n', 'm']
# 홀수면 right와 비교 짝수면 left와 비교
for i in range(len(word)):
if i % 2 == 1:
if word[i] not in right:
return False
else:
if word[i] not in left:
return False
return True
다만 이 경우에는 오른손이 먼저 오는 경우에는 오답으로 나온다. enumerate()를 활용한 반복문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enumerate()는 index와 elements를 반환한다.
# solution 2
def comf(word):
left = ['q', 'w', 'e', 'r', 't', 'a', 's', 'd', 'f', 'g', 'z', 'x', 'c', 'v', 'b']
right = ['y', 'u', 'i', 'o', 'p', 'h', 'j', 'k', 'l', 'n', 'm']
first_char = word[0]
if first_char in right:
hands = [right,left]
elif first_char in left:
hands = [left, right]
for i, char in enumerate(word):
if char not in hands[i%2]: # hands의 index는 0,1을 반복한다.
return False
return True
숫자패턴
원하는 행까지 아래의 패턴을 생성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만약 인자가 0이나 음의 정수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하세요. 짝수가 인수로 전달되면 패턴은 통과된 짝수보다 작은 최대 홀수까지 계속되어야 합니다.
양의 정수가 주어질 경우 1부터 2step을 주어 풀이하였다.
def pattern(i):
if i <= 0:
return ''
else:
return '\n'.join([f'{i}' * i for i in range(1, i+1, 2)])
해당 list가 어떻게 생성되는지는 아래 이미지를 참조.
숫자가 좋아
섞여있는 문자열 속에서 정수만 뽑아내 합을 반환하는 함수 pick_and_sum(words)를 작성하세요.
re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풀이하였다.
import re
def pick_and_sum(str):
return sum(map(int,re.findall('\d+',str)))
findall()은 첫번째 인자에 정규표현식(패턴)과 두번째인자로 문자열을 받는다. \d+ 정규표현식은 한 개 이상의 숫자를 나타낸다. 123이라는 문자열이 있다면 1,2,3으로 찾을 수 도있지만, 123으로 찾을수 있게 한다.
혹은 문자 하나하나 비교하여 list로 추가하는 풀이도 있을 수 있다.
# solution 2
def pas(str):
my_list = []
count = 0 # bool type으로 두는게 더 좋을것 같지만 우선 정수로
new_num = ''
for char in str:
if 46<ord(char)<58:
if count == 0:
new_num += char
count += 1
else:
new_num += char
elif count != 0:
my_list.append(int(new_num))
new_num = ''
count = 0
return sum(my_list)
소대소대
단어의 짝수번째 알파벳은 대문자로, 홀수번째 알파벳은 소문자로 바꾼 문자열을 return 하는 함수 up_and_low을 작성하세요.
간단하게 upper()를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lower()는 생략했다.
def up_and_low(chars):
my_list = []
for i in range(len(chars)):
if i % 2 == 0:
my_list.append(chars[i])
else:
my_list.append(chars[i].upper())
new_chars = ''.join(my_list)
return new_chars
혹은 map()을 활용할 수도 있는데, map()에 익숙해지는게 좋은 만큼 한번 코드를 바꿔보자.
# solution 2
def ual2(chars):
def change(tuple):
# enum은 튜플형태로 인자가 들어오므로 매개변수에서 idx, char로 받아버리면 idx range가 맞지않게된다.
# 그러므로 함수 안에서 구분해주자
idx, char = tuple
return char.upper() if idx % 2 else char.lower()
# lambda t: t[1].upper() if [0]%2 else t[1].lower()
return ''.join(map(change,enumerate(chars)))
join()은 iterable하다면 모두 처리해준다. 그래서 list로 바꿔주지 않아도 join()이 가능하다.
통과한 시험
딕셔너리 형태로 언어 및 각 테스트의 결과가 주어지면 테스트 점수가 60 이상인 언어 목록의 결과를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를 반환하는 passpass함수를 작성하세요. (중복되는 점수는 없습니다.)
딕셔너리 컴프리헨션과 sorted 및 람다함수에 대해 알아야 했던 문제였다. 아래의 코드는 딕셔너리의 value를 기준으로 정렬한다.
def passpass(scores):
# value기준 정렬
sorted_dict = dict(sorted(scores.items(),key=lambda x: x[1], reverse=True))
my_list = []
for subject, score in sorted_dict.items():
if score >= 60:
my_list.append(subject)
return my_list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여 딕셔너리 정렬에 대해 이해해보자.
람다함수를 풀어쓴 풀이를 봐보자.
# solution 2
def pass2(scores):
# value정렬의 람다함수를 풀어쓴 버전이다.
def return_score(x):
# 딕셔너리를 list로 바꾸면 key,value가 tuple로 들어온다.
return x[1]
scores = list(scores.items())
scores.sort(key=return_score, reverse=True)
scores = list(filter(lambda elem: elem[1] >= 60, scores))
answer = [subj for subj, score in scores]
return answer
삼각수
삼각수는 1, 1+2, 1+2+3, 1+2+3+4, … 의 결과에 해당하는 수를 뜻합니다. 따라서, 1, 3, 6, 10, 15, 21, 28, 36, 45, 55, 66, 78, 91, 105, 120,..는 삼각수입니다. 양의 정수를 입력받아 삼각수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함수 is_triangular를 작성하세요.
함수 fn의 정의를 하는 수학적 생각이 중요한 문제였다.
def is_triangular(num):
i = 1
# fn-1 = fn - n
# fn = fn-1 + n
# fn = n+(n-1)+(n-2)+(n-3)+...
while True:
num -= i
if num == 0:
return True
elif num < 0:
return False
i += 1
간단한 풀이도 있다. range()를 이용하여 1부터 그대로 더해가는 방법(심각한 성능문제 발생)과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이있다.
# sol2
def ist2(num):
i = 1
# while sum(range(i+1)) < num:
# i += 1
while i*(i+1)//2 < num:
i += 1
# return sum(range(i+1)) == num
return i*(i+1)//2 == num
나만의 딕셔너리 생성하기
key의 리스트와 value의 리스트로 딕셔너리를 생성하여 return 하는 함수 create_dict(keys, values)를 작성하세요. 만약에 value의 갯수가 key의 갯수보다 부족한 경우, None을 채워 넣어야 합니다. 반대로 key의 갯수가 부족한 경우, 초과하는 value들은 무시해도 됩니다.
value가 더 많은 경우는 슬라이싱을 통해 구현하면 됐지만 key가 더많은 경우가 어려웠는데, list도 연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해내야했다.
def create_dict(keys, values):
if len(keys) == len(values):
return dict(zip(keys, values))
elif len(keys) > len(values):
return dict(zip(keys,values +[None]*(len(keys) - len(values))))
else:
return dict(zip(keys,values[:len(keys)]))
함수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 sol2
def cd2(keys, values):
answer = {}
# key는 모두 소비해야하므로 len의 기준을 key로 잡는다.
for idx in range(len(keys)):
k = keys[idx]
if idx < len(values):
v = values[idx]
answer[k]= v
else:
answer[k]= None
딕셔너리 뒤집기
딕셔너리는 기본적으로 key와 value로 이뤄져있습니다. 딕셔너리를 입력받아 value와 key를 뒤집은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dict_invert를 작성하세요.
zip()을 이용하면 어려울게 없는 문제였다.
def dict_invert(original_dict):
return dict(zip(original_dict.values(), original_dict.keys()))
하지만
print(dict_invert({1: True, 2: True, 3: True}))
같은 경우 의도한 대로 딕셔너리가 나오지 않게 되서 코드를 수정해야했다.
# sol2
def di(original_dict):
answer={}
for k, v in original_dict.items():
# key 중에 v 가 없다면 [k]로 초기화
if v not in answer:
answer[v] = k
# 있다면 리스트에 추가
else:
answer[v].append(k)
return answer
시험 채점 시스템
첫 번째 인자는 정답이 들어있는 리스트, 두 번째 인자는 사용자의 답이 들어있는 리스트입니다. 두 리스트는 비어있지 않으며 길이가 같습니다. 정답의 경우 +4점, 오답의 경우 -1점, 공백 응답(빈 문자열)의 경우 0점입니다. 만약, 점수가 0보다 작으면 0을 return 합니다. 위와 같이 시험 점수를 체크하는 함수 check_score(real_answers, my_answers)을 작성하세요.
인덱스로 비교하면 간단한 문제다.
def check_score(real_answers, my_answers):
score = 0
for i in range(len(real_answers)):
# 정답일 경우
if real_answers[i] == my_answers[i]:
score += 4
# 오답
elif real_answers[i] != my_answers[i] and my_answers[i] != '':
score -= 1
if score < 0:
score = 0
return score
댓글남기기